신약 알아보기/고린도전서

고린도전서 안내

Olive J 2020. 9. 1. 07:00
- 저자, 기록 장소, 기록 시기 :  AD55년경 사도 바울이 3차 전도여행 중 에베소에서 3년간 체류할 당시 고린도 교회에게 보낸 편지이다.

 

- 기록의 배경과 기록 목적 : 고린도 교회는 바울이 2차 전도 여행 시 고린도에 1년 반을 머물면서 세운 교회였다(사도행전 18장 1-8절). 바울은 아덴에서 고린도로 처음 왔을 때 두렵고 떨렸다고 했다(고린도 전서 2장 3절).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장막 업자인 아굴라와 브리스길라를 만나 함께 전도하게 되었고(사도행전 18장 1-3절), 마케도니아로 파견했던 실라와 디모데도 돌아와 고린도에서 전도하였다(사도행전 18장 5절). 그런데 이때 유대인의 적극적인 반대에 부딪혀 우대인 전도를 중단하고 디도 유스도라는 이방인 집을 중심으로 1년 반 동안 이방인에게 전도하여 고린도 교회를 세우게 되었다(사도행전 18장 7-11절). 따라서 이런 배경에서 세워진 고린도 교회는 자연 이방인들이 대부분이었다.

 

- 고린도 역사, 문화적인 배경을 갖고 교회에 들어온 이방인 교인들은 여러 문제들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바울에게 근심거리가 되었다. 이 때문에 바울은 여러 차례 고린도 교회에 편지를 써 보내게 되었다. 이미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쓰기 전 음행 하는 자들과 사귀지 말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낸 적이 있었으나(고린도전서 5장 9절) 고린도 교인들은 바울의 편지를 잘못 이해하여 문제를 일으켰다. 그래서 바울은 이에 대한 오해를 풀고(고린도전서 5장 9-13절), 글로에의 집 사람들을 통해 듣게 된 고린도 교회의 분쟁 문제(고린도전서 1장 11-12절)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리고 스데바나와 브드나도에 의해 전달된 고린도 교인들의 몇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고린도전서 16장 17절) 고린도전서를 쓰게 되었다.

 

- 고린도전서의 특징 :
1. 실제적인 문제에 답하여 기록한 실제적인 편지이다. 로마서, 갈라디아서처럼 교리적이거나 빌립보서, 빌레몬서처럼 개인적인 이유로, 디모데 전후서, 디도서처럼 목회 차원에서 쓴 글이 아니었다. 믈론 이런 성경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고린도 교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다룬 서신이다.

2. 고린도 교회에 일어난 문제들은 모든 세대의 교회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세대의 교회에 교훈과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실제적인 진리를 담고 있다.

3. 초대교회의 상황과 형태를 알게 하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가 된다.

4. 문학적인 탁월함을 보여 준다. 특히 사랑의 장으로 알려진 13장, 부활장으로 알려진 15장은 뛰어난 문체와 논리적인 전개를 잘 보여 준다.

 

- 고린도 교회의 문제들 :
1. 당파 문제(고린도전서 1장 10-4장)
2. 불륜 문제 (고린도전서 5장) 
3. 소송 문제(고린도전서 6장 1-11절)
4. 혼인 문제 (고린도전서 7장)
5. 우상의 제물 문제(고린도전서 8-10장)
6. 부인의 수건 문제(고린도전서 11장 1-16장) 
7. 성찬에 관한 문제 (고린도전서 11장 17-34절)
8. 은사에 관한 문제(고린도전서 12-14장) 
9장 부활 문제(고린도전서 15장)
10 헌금 문제(고린도전서 16장 1-4절)

 

 

 

- 핵심 주제 : 1. 교회의 일치    2. 교회의 순결    3. 예배의 중요성    4. 성도의 부활

- 내 용 :  머리말  /  교회의 분열상  / 도덕적 타락상  / 결혼과 이혼 문제  / 우상 제물과 바울의 사도권  / 공중 예배와 바울의 사도권  /  공중예배와 성찬 예식  /  영적 은사  /  성도의 부활  /  권면과 마지막 인사